대우주시대/행성과우주 B-GOLDKING 2019. 12. 28. 02:32
나사는 카시니 탐사선을 통해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의 얼음층 아래에서 열수성 활동을 보여주는 해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그리고 또 다른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에서는 액체 메탄 바다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요. 이는 실로 놀라운 결과였죠. 그래서 나사는 토성의 달 타이탄을 어떻게 탐험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는데요. 최근 나사는 중대발표를 통해 SF영화에서나 가능할 법한 놀라운 계획을 공개하게 되지요. 그것은 바로 타이탄에 잠수함을 직접 보내는 것인데요. 정말 발상이 놀랍더군요. 이처럼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에 잠수 탐사를 보낼 수 있는 이유는 타이탄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은 없지만, 메탄으로 된 방대한 호수와 강 그리고 바다로 이루어졌기 때문인데요. 나사는 이 비밀스러운 액체 내에 무엇이 존재하는지..
대우주시대/행성과우주 B-GOLDKING 2019. 12. 27. 23:53
오늘은 화성에 국경을 최초로 선포한 미국의 놀라운 패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태양계 제2의 지구라 불리는 화성은 태양으로부터 네 번째 행성으로 태양계의 지구형 행성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데요. 지름은 지구의 절반 남짓한 6792㎞이며 질량은 지구의 11%에 표면 중력은 지구의 38%에 불과하죠. 화성은 다른 행성과 마찬가지로 분화된 천체인데요. 외관은 인력의 작용으로 공 모양이 되었고, 내부에서는 열로 말미암아 암석이 움직이면서 밀도에 따라 다른 암석층으로 분리되었죠. 그 결과 무거운 물질은 가라앉아 핵이 되고 가벼운 광물은 솟아올라 맨틀과 지각이 된 것이죠. 40억 년 전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가졌던 화성의 환경은 예전이 훨씬 더 나았다고 하죠. 사막 지형도 아니었고 대기의 양도 지금보다 많았고요...
대우주시대/행성과우주 B-GOLDKING 2019. 12. 26. 21:10
다이아몬드로 가득한 행성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동안 우주에는 표면이 다이아몬드로 덮인 일명 '다이아몬드 행성'이 있을 것이라고는 예측해왔지만, 그런 행성이 실제로 존재할 것이라고는 생각조차 못했었죠. 그런데 지구에서 40광년 정도 떨어진 별 '55캔 크리(게자리)'의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 '55캔크리e'의 표면이 물과 흑연이 아니라 흑연과 다이아몬드로 덮여 있을 가능성이 높아져 놀라움을 주고 있죠. 영국 캐번디시연구소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가 '55캔 크리e'를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스피처 망원경으로 75시간 동안 관측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놀랍게도 이 행성의 표면 온도는 무려 1,000-2,700°C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하죠. 이처럼 '다이아몬드' 행성이 낮..
대우주시대/행성과우주 B-GOLDKING 2019. 12. 25. 21:01
우주의 불로초? 상추가 화성에서 쓰일 우주식량이 된 결정적 이유 지구에서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하려면 지구와 화성의 궤도로 인한 특별한 기회의 창이 열릴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요. 그 이유는 행성들의 간격이 작게는 5천460만km에서 많게는 4억km나 떨어져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이런 이유로 해서 화성 탐사 우주선을 보내려면 지구와 화성이 나란히 배열되는 특별한 우주의 창이 열리는 시점까지 기다렸다가 발사해야 합니다. 그리고 돌아 올 때도 또 다른 우주의 창이 열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귀환해야 하죠. 하지만 이렇게 거리를 단축해도 지구에서 화성으로 가는 데에만도 꼬박 9개월이나 걸리는데요. 어렵게 화성에 도착한 우주비행사들이 다시 지구로 귀환하려면 그곳에서 적어도 1년간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화성..
대우주시대/행성과우주 B-GOLDKING 2019. 12. 24. 15:56
2018년 8월 28일 국제 우주정거장 ISS에서 큰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국제 우주정거장 ISS 내부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포착된 것이죠. 상황이 긴박하다는 것을 눈치챈 6명의 우주인들은 ISS 내부의 산소 유출지점을 수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2018년 6월 도킹된 러시아 우주선 소유즈 MS-09 내부에 구멍 2개가 발견됐죠. 발견된 구멍 크기만 직경 2㎜로 매우 충격적인 사건이었습니다. 만약 구멍을 일찍 발견하지 못했다면 ISS 내부 산소 수치가 수십일 내 급격히 떨어지면서 우주인들의 생명을 크게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당시 우주인들은 구멍의 원인이 소형 유성체에서 떨어져 나온 운석 충돌로 인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런데 조사 도중 내부에서 구멍이 뚫렸을 가능성이 제기되..